《화엄경(華嚴經)》은 석가모니 부처가 보리수 밑에서 깨달음을 이룬 지 14일째 되는 날 그대로 앉아서 광명으로 설법한 내용을 담은 경전이다. 《화엄경》은 《묘법연화경》, 《금강경》, 《반야심경》 등과 함께 대승불교의 주요 경전 중 하나이다.
<입법계품(入法界品)>은 《화엄경》의 마지막 품으로 《화엄경》 80권본의 제39품에 해당한다. 60권본에서는 제44∼60권에, 80권본에서는 제61∼80권에 각각 해당한다. 필자는 《입법계품(入法界品)》을 우리말로 옮겨 상, 중, 하 세 권으로 나누어 발간했다.
<입법계품>은 선재(善財)라는 동자(童子)가 문수사리 보살로부터 불법(佛法)을 듣고 최고의 완전한 깨달음을 얻으려는 마음을 내고 남쪽으로 길을 떠나 52명의 선지식(善知識: 스승)을 찾아다니며 도를 구하고 점차 증득하여 법계(法界: 진리. 진여)에 들어가는 과정을 이야기 한 경전이다.
사바세계의 무상함을 느끼고 영원한 세계로 가고 싶은 마음으로 선재 동자처럼 선지식을 찾아 도를 구하려는 이들과, 불도(佛道)를 구하여 성불(成佛)하는 과정이 궁금한 이들에게 이 책은 안성맞춤일 것이다. 이 경전은 인류 역사상 최고의 구도(求道) 여행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냥 소설처럼 재미 삼아 읽기에도 아주 훌륭한 책이라 하겠다.
이 책은 차원 높은 심오한 내용을 담은 경전이지만 이야기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현대인들이 접근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필자는 한자나 한문에 덜 익숙한 한글(영어) 세대가 읽기 쉬운 현대어로 번역하려고 심혈을 기울였다. 일반 독자에게 낯선 불교 용어는 가능한 한 그 뜻을 이해하면서 읽어 나갈 수 있도록 괄호 안에 밝혀 두었다.
필자는 최대한 오역을 줄이기 위해 이운허 스님이 번역한 《대방광불화엄경》 <입법계품>과, 수행력이 깊고 불교 이론과 경전 내용에 해박하며 한문 해독에도 출중한 중국의 고승 선화상인(宣化上人)이 제자들에게 강설한 《대방광불화엄경》의 <입법계품>과, 피터 앨런 로버츠(Peter Alan Roberts: 티베트 문헌 번역가)가 산스크리트본을 영어로 옮긴 《줄기 배열(The Stem Array)》을 교차검증 차원에서 비교하거나 참고하면서 한역본을 우리말로 옮겼다. 불교대사전과 산스크리트어 사전에서 불교 전문용어와 일반인들에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낱말들은 일일이 찾아보면서 기존 번역서들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번역하는 데에 노력을 기울였다.
대방광불화엄경 제67권 ∙ 25
39. 입법계품 [8] ∙ 25
21. 변행(徧行) 외도(外道) ∙ 25
(1) 가르침을 되새김 ∙ 25
(2) 법을 물음 ∙ 25
(3) 법을 말함 ∙ 26
① 수행 과보 ∙ 26
② 중생을 이롭게 함 ∙ 27
③ 외도를 조복함 ∙ 29
(4)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30
(5) 다른 선지식을 권함 ∙ 31
22. 육향(鬻香) 장자(長者) ∙ 32
(1) 선재의 바람 ∙ 32
(2) 도를 물음 ∙ 33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37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38
23. 바시라(婆施羅) 선사(船師) ∙ 39
(1) 선지식을 생각함 ∙ 39
(2) 법을 물음 ∙ 40
(3) 법을 말함 ∙ 41
① 선재를 찬탄함 ∙ 41
② 바시라 선사의 일 ∙ 41
③ 보배에 관한 것을 앎 ∙ 42
④ 바다에 대한 것을 앎 ∙ 43
⑤ 배로 중생을 이롭게 함 ∙ 44
(4)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45
(5) 다른 선지식을 권함 ∙ 45
24. 무상승(無上勝) 장자(長者) ∙ 47
(1) 보살의 도를 구함 ∙ 47
(2) 무상승 장자 ∙ 47
(3) 법을 물음 ∙ 48
(4) 법을 말함 ∙ 49
(5)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52
(6) 다른 선지식을 권함 ∙ 52
25. 사자빈신(師子頻申) 비구니 ∙ 54
(1) 찾아감 ∙ 54
(2) 일광원(日光園) ∙ 54
(3) 사자빈신 비구니 ∙ 58
(4) 법을 물음 ∙ 65
(5) 법을 말함 ∙ 66
① 해탈을 얻음 ∙ 66
② 상(相)으로 분별하지 않음 ∙ 68
(6)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68
(7) 다른 선지식을 권함 ∙ 69
대방광불화엄경 제68권 ∙ 70
제39. 입법계품 [9] ∙ 70
26. 바수밀다(婆須蜜多) 여인 ∙ 70
(1) 수행 진보 ∙ 70
(2) 성(城) 사람들 ∙ 71
① 선재를 이상하게 여김 ∙ 71
② 선재를 찬탄함 ∙ 72
(3) 바수밀다 ∙ 72
① 집 ∙ 72
② 용모 ∙ 74
(4) 법을 물음 ∙ 75
(5) 법을 말함 ∙ 75
① 얻은 해탈 ∙ 75
② 발심 동기 ∙ 77
(6)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78
(7) 다른 선지식을 권함 ∙ 78
27. 비슬지라(瑟羅胝羅) 거사(居士) ∙ 80
(1) 법을 물음 ∙ 80
(2) 법을 말함 ∙ 80
① 얻은 해탈 ∙ 80
② 삼매의 경계 ∙ 81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83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84
28. 관자재(觀自在) 보살(菩薩) ∙ 85
(1) 수행 진보 ∙ 85
(2) 관자재를 보고 생각함 ∙ 85
(3) 선재를 칭찬함 ∙ 86
(4) 법을 물음 ∙ 87
(5) 법을 말함 ∙ 88
① 중생 교화 ∙ 88
② 원(願) ∙ 89
(6)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90
(7) 정취 보살 ∙ 90
(8) 선재에게 권함 ∙ 91
29. 정취(正趣) 보살(菩薩) ∙ 92
(1) 법을 물음 ∙ 92
(2) 법을 말함 ∙ 92
① 얻은 해탈 ∙ 92
② 법문을 받고 온 과정 ∙ 93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95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95
30. 대천신(大天神) ∙ 96
(1) 수행 진보 ∙ 96
(2) 법을 물음 ∙ 96
(3) 법을 말함 ∙ 97
① 보살 ∙ 97
② 얻은 해탈 ∙ 98
(4)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01
(5)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01
31. 안주(安住) 지신(地神) ∙ 103
(1) 선재를 찬탄함 ∙ 103
(2) 광명을 발함 ∙ 104
(3) 법을 말함 ∙ 104
① 보물 창고 ∙ 104
② 얻은 해탈로 교화함 ∙ 105
③ 법문을 받아 수행함 ∙ 106
(4)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07
(5)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07
10지(地) 선지식
32. 바산바연지(婆珊婆演底) 주야신(主夜神) ∙ 109
(1) 사유하고 증득함 ∙ 109
(2) 찾아가며 사유함 ∙ 109
(3) 바산바연지 주야신 ∙ 110
(4) 법을 물음 ∙ 111
(5) 법을 말함 ∙ 112
① 얻은 해탈 ∙ 112
② 해탈의 뜻을 거듭 폄 ∙ 119
③ 옛일을 말함 ∙ 124
④ 해탈을 얻은 역사 ∙ 126
(6)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29
(7)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30
(8) 바산바연지를 찬탄함 ∙ 130
대방광불화엄경 제69권 ∙ 134
제39. 입법계품 [10] ∙ 134
33. 보덕정광(普德淨光) 주야신(主夜神) ∙ 134
(1) 수행 진보 ∙ 134
(2) 밤 신을 찾아감 ∙ 134
(3) 법을 말함 ∙ 135
① 보살 행을 원만히 하는 법 ∙ 135
② 얻은 해탈 ∙ 136
③ 중생을 성숙시킴 ∙ 138
④ 해탈을 닦을 때의 일 ∙ 139
(4)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40
(5)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40
(6) 해탈의 뜻을 거듭 폄 ∙ 141
34. 희목 관찰 중생(喜目 觀察 衆生) 주야신(主夜神) ∙ 145
(1) 선재가 사유함 ∙ 145
(2) 선재에게 가피를 줌 ∙ 145
(3) 선재가 생각함 ∙ 146
(4) 법을 말함 ∙ 147
① 10바라밀 ∙ 147
② 중생들의 몸 구름을 냄 ∙ 156
③ 10바라밀의 공덕 ∙ 158
④ 차례를 말함 ∙ 161
(5) 선재가 해탈을 얻음 ∙ 162
(6) 밤 신을 찬탄함 ∙ 163
(7) 밤 신이 대답함 ∙ 166
① 적정음 겁 때의 일 ∙ 166
② 천승 겁 때의 일 ∙ 173
③ 범광명 겁 때의 일 ∙ 174
④ 공덕월 겁 때의 일 ∙ 175
⑤ 적정혜 겁 때의 일 ∙ 177
⑥ 선출현 겁 때의 일 ∙ 178
⑦ 집견고왕 겁 때의 일 ∙ 180
⑧ 묘승주 겁 때의 일 ∙ 181
⑨ 천공덕 겁 때의 일 ∙ 182
⑩ 무착장엄 겁 때의 일 ∙ 184
⑪ 공덕당 부처님께 공양함 ∙ 185
⑫ 보현의 덕을 말함 ∙ 186
⑬ 밤 신의 과거 스승 ∙ 188
(8)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89
(9)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90
대방광불화엄경 제70권 ∙ 191
제39. 입법계품 [11] ∙ 191
34. 희목 관찰 중생(喜目 觀察 衆生) 주야신(主夜神)∙ 191
(1) 선재의 원(願) ∙ 191
(2) 보구 중생 묘덕 주야신 ∙ 192
① 광명을 발함 ∙ 192
② 차별 있는 모습을 봄 ∙ 192
③ 중생을 구호하는 것을 봄 ∙ 194
④ 중생을 구호하는 까닭 ∙ 195
⑤ 선재가 찬탄함 ∙ 196
(3) 해탈에 대해 물음 ∙ 201
(4) 법을 말함 ∙ 202
① 헤아리기 어려운 경계 ∙ 202
② 보구 중생 묘덕 주야신의 초발심 ∙ 202
③ 해탈의 뜻을 거듭 폄 ∙ 228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238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238
대방광불화엄경 제71권 ∙ 239
제39. 입법계품 [12] ∙ 239
36. 적정 음해(寂靜 音海) 주야신(主夜神) ∙ 239
(1) 찾아가 법을 물음 ∙ 239
(2) 법을 말함 ∙ 240
① 마음을 일으킴 ∙ 240
② 중생을 위해 마음을 일으킴 ∙ 241
③ 중생의 잘못을 다스림 ∙ 242
④ 보살 경계를 관찰함 ∙ 245
⑤ 부처의 뛰어난 작용 ∙ 246
⑥ 해탈의 경계 ∙ 249
⑦ 해탈을 얻은 과정 ∙ 251
(3) 밤 신이 발심한 때 ∙ 252
① 다른 세계에서 수행함 ∙ 252
② 사바세계에서 수행한 일 ∙ 260
③ 해탈의 뜻을 거듭 폄 ∙ 261
(4)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264
(5) 다른 선지식을 권함 ∙ 265
(6) 선지식의 덕을 찬탄함 ∙ 265
37. 수호 일체성 증장 위력(守護 一切城 增長 威力) 주야신(主夜神) ∙ 268
(1) 가르침을 되새김 ∙ 268
(2) 찾아가 법을 물음 ∙ 268
① 밤 신의 몸을 봄 ∙ 268
② 법을 물음 ∙ 269
(3) 법을 말함 ∙ 270
① 선재를 찬탄함 ∙ 270
② 밤 신이 얻은 해탈 ∙ 270
③ 법계를 관찰함 ∙ 272
④ 큰 위덕 다라니 ∙ 273
⑤ 갖가지 법을 말함 ∙ 273
⑥ 처음 해탈 문을 얻은 일 ∙ 275
(4)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286
(5) 다른 선지식을 권함 ∙ 287
(6) 해탈의 뜻을 거듭 밝힘 ∙ 287
대방광불화엄경 제72권 ∙ 293
39. 입법계품 [13] ∙ 293
38. 개부 일체 수화(開敷 一切 樹華) 주야신(主夜神) ∙ 293
(1) 법을 물음 ∙ 293
(2) 법을 말함 ∙ 294
① 중생을 안락하게 함 ∙ 294
② 중생을 이롭게 함 ∙ 294
③ 해탈 문의 경계 ∙ 295
④ 발심한 일 ∙ 296
⑤ 중생을 이롭게 하는 행 ∙ 298
⑥ 알기 어려운 법의 근본 ∙ 301
⑦ 게송으로 뜻을 거듭 밝힘 ∙ 302
⑧ 발심한 인연 ∙ 307
⑨ 발심 ∙ 318
⑩ 보광명의 게송 ∙ 320
⑪ 대왕이 찬탄하고 옷을 줌 ∙ 332
⑫ 과거의 일과 현재의 일 ∙ 333
(3) 해탈의 뜻을 거듭 폄 ∙ 334
(4)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336
(5) 다른 선지식을 권함 ∙ 337
대방광불화엄경 제73권 ∙ 338
39. 입법계품 [14] ∙ 338
39. 대원 정진력 구호 일체 중생(大願 精進力 救護 一切 眾生) 주야신(主夜神) ∙ 338
(1) 밤 신 ∙ 338
① 다양한 몸 ∙ 338
② 선재의 열 가지 마음 ∙ 339
③ 밤 신과 똑같은 것을 얻음 ∙ 341
④ 선재가 찬탄함 ∙ 346
(2) 법을 말함 ∙ 348
① 해탈 문을 얻음 ∙ 348
② 해탈에 들어가 하는 일 ∙ 352
③ 발심한 때 ∙ 353
④ 선광(善光) 겁 때의 일 ∙ 356
⑥ 일광(日光) 겁 때의 일 ∙ 368
⑦ 해탈의 뜻을 거듭 폄 ∙ 370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378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379
∥부록∥ 보살 52 계위 ∙ 380
참고 문헌 ∙ 388
전북 익산 출생으로 남성중고등학교와 전북대학교 영어영문과를 졸업하고 전주의 상산고등학교에서 영어교사를 역임했다. 젊은 시절부터 인간을 포함한 만물에 대한 근원적인 이치에 관심이 깊어 여러 경전을 섭렵하면서 스승을 찾던 중 중년 초반에 완전한 깨달음을 이룬 스승을 만나 지금까지 명상 수행을 해오고 있다.
번역서로는 『수능엄경』의 핵심 부분인 『이근원통』과 『오음의 마』를 역대 최고의 주석서인 진감 스님의 『대불정수능엄경정맥소』의 주석과 함께 한글로 옮긴 책이 각각 한 권씩 있다. 또 중국 당나라 때의 시승(詩僧) 한산의 시를 역대 최고의 주석서인 항초의 『한산시주(寒山詩註)』와 함께 우리말로 옮긴 『한산자시집 상, 중, 하』가 있다. 시집으로는 『빛으로 된 새』가 있으며, 수필집으로는 『진정 아름다운 사람』이 있다. 그리고 사진집으로는 『빛으로 그린 수묵화 상, 중, 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