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화엄경 입법계품 하

화엄경 입법계품 하

지은이 : 천병술
출간일 : 2025-08-08
ISBN : 9791139038422
판매가 : 11,000원
포멧 : PDF
판매서점

책소개

《화엄경(華嚴經)》은 석가모니 부처가 보리수 밑에서 깨달음을 이룬 지 14일째 되는 날 그대로 앉아서 광명으로 설법한 내용을 담은 경전이다. 《화엄경》은 《묘법연화경》, 《금강경》, 《반야심경》 등과 함께 대승불교의 주요 경전 중 하나이다.

<입법계품(入法界品)>은 《화엄경》의 마지막 품으로 《화엄경》 80권본의 제39품에 해당한다. 60권본에서는 제44∼60권에, 80권본에서는 제61∼80권에 각각 해당한다. 필자는 《입법계품(入法界品)》을 우리말로 옮겨 상, 중, 하 세 권으로 나누어 발간했다.

<입법계품>은 선재(善財)라는 동자(童子)가 문수사리 보살로부터 불법(佛法)을 듣고 최고의 완전한 깨달음을 얻으려는 마음을 내고 남쪽으로 길을 떠나 52명의 선지식(善知識: 스승)을 찾아다니며 도를 구하고 점차 증득하여 법계(法界: 진리. 진여)에 들어가는 과정을 이야기 한 경전이다.

사바세계의 무상함을 느끼고 영원한 세계로 가고 싶은 마음으로 선재 동자처럼 선지식을 찾아 도를 구하려는 이들과, 불도(佛道)를 구하여 성불(成佛)하는 과정이 궁금한 이들에게 이 책은 안성맞춤일 것이다. 이 경전은 인류 역사상 최고의 구도(求道) 여행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냥 소설처럼 재미 삼아 읽기에도 아주 훌륭한 책이라 하겠다.

이 책은 차원 높은 심오한 내용을 담은 경전이지만 이야기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현대인들이 접근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필자는 한자나 한문에 덜 익숙한 한글(영어) 세대가 읽기 쉬운 현대어로 번역하려고 심혈을 기울였다. 일반 독자에게 낯선 불교 용어는 가능한 한 그 뜻을 이해하면서 읽어 나갈 수 있도록 괄호 안에 밝혀 두었다.

필자는 최대한 오역을 줄이기 위해 이운허 스님이 번역한 《대방광불화엄경》 <입법계품>과, 수행력이 깊고 불교 이론과 경전 내용에 해박하며 한문 해독에도 출중한 중국의 고승 선화상인(宣化上人)이 제자들에게 강설한 《대방광불화엄경》의 <입법계품>과, 피터 앨런 로버츠(Peter Alan Roberts: 티베트 문헌 번역가)가 산스크리트본을 영어로 옮긴 《줄기 배열(The Stem Array)》을 교차검증 차원에서 비교하거나 참고하면서 한역본을 우리말로 옮겼다. 불교대사전과 산스크리트어 사전에서 불교 전문용어와 일반인들에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낱말들은 일일이 찾아보면서 기존 번역서들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번역하는 데에 노력을 기울였다.

목차

들어가며 ∙ 4

대방광불화엄경 제74권 ∙ 24
39. 입법계품 [15] ∙ 24

십지(十地) 선지식 ∙ 24

40. 묘덕 원만(妙德 圓滿) 람비니림 신 ∙ 24
(1) 법을 물음 ∙ 24
(2) 법을 말함 ∙ 25
① 보살이 태어나는 열 가지 장 ∙ 25
② 보살 탄생의 장을 풀이함 ∙ 26
③ 뜻을 거듭 폄 ∙ 35
④ 해탈 문의 경계 ∙ 37
⑤ 람비니숲 신의 해탈 ∙ 46
⑥ 뜻을 거듭 폄 ∙ 48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53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54

대방광불화엄경 제75권 ∙ 55
제39. 입법계품 [16] ∙ 55

41. 구파(瞿波) 석종녀(釋種女) ∙ 55
(1) 무우덕 신이 찬탄함 ∙ 55
(2) 보살이 하는 일 ∙ 57
(3) 선재를 찬탄함 ∙ 59
(4) 구파(瞿波) ∙ 62
(5) 법을 물음 ∙ 63
(6) 법을 말함 ∙ 64
① 열 가지 법 ∙ 64
② 선지식을 섬기는 열 가지 법 ∙ 66
③ 뜻을 거듭 밝힘 ∙ 66
④ 구파가 얻은 해탈 문 ∙ 69
⑤ 법의 근원을 밝힘 [1] ∙ 73
⑥ 법의 근원을 밝힘 [2] ∙ 109
(7)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15
(8)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16
(9) 뜻을 거듭 밝힘 ∙ 116

대방광불화엄경 제76권 ∙ 124
제39. 입법계품 [17] ∙ 124

등각(等覺) 선지식 ∙ 124

42. 마야(摩耶) 부인 ∙ 124
(1) 법을 물음 ∙ 124
① 선지식의 법력을 생각함 ∙ 124
② 보안(寶眼)을 만남 ∙125
③ 신중신(身衆神)을 만남 ∙128
④ 나찰 귀신 왕을 만남 ∙ 129
⑤ 마야 부인의 연꽃과 누관과 보좌 ∙ 132
⑥ 마야 부인의 색신(色身) ∙ 133
⑦ 마야 부인의 일 ∙ 136
⑧ 법을 물음 ∙ 138
(2) 법을 말함 ∙ 139
① 현재 비로자나불의 어머니 ∙139
② 과거 부처들의 어머니 ∙ 143
③ 현겁 부처들의 어머니 ∙ 143
④ 해탈을 얻은 때와 장소 ∙ 149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52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52

43. 천주광(天主光)의 딸 ∙ 153
(1) 법을 물음 ∙ 153
(2) 법을 말함 ∙ 153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156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56

44. 변우(遍友) 동자사(童子師) ∙ 157
(1) 법을 물음 ∙ 157
(2) 다른 선지식을 권함 ∙157
45. 선지중예(善知衆藝) 동자(童子) ∙ 158
(1) 법을 물음 ∙ 158
(2) 법을 말함 ∙ 158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64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66

46. 현승(賢勝) 우바이(優婆夷) ∙ 167
(1) 법을 물음 ∙ 167
(2) 법을 말함 ∙ 167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68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69

47. 견고해탈(堅固解脫) 장자(長者) ∙ 170
(1) 법을 물음 ∙ 170
(2) 법을 말함 ∙ 170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71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71

48. 묘월(妙月) 장자(長者) ∙ 172
(1) 법을 물음 ∙ 172
(2) 법을 말함 ∙ 172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73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73

49. 무승군(無勝軍) 장자(長者) ∙ 174
(1) 법을 물음 ∙ 174
(2) 법을 말함 ∙ 174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75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75

50. 최적정(最寂靜) 바라문(婆羅門) ∙ 176
(1) 법을 물음 ∙ 176
(2) 법을 말함 ∙ 176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77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77

대방광불화엄경 제77권 ∙ 179
제39. 입법계품 [18] ∙ 179

51. 덕생(德生) 동자와 유덕(有德) 동녀 ∙ 179
(1) 법을 물음 ∙ 179
(2) 법을 말함 ∙ 179
(3) 보살 마하살을 찬탄함 ∙ 181
(4) 다른 선지식을 권함 ∙ 181
① 미륵 보살 ∙ 181
② 보살의 열 가지 행 ∙ 184
③ 선지식 ∙ 188
④ 선지식으로 인한 이익 ∙ 190
⑤ 선지식에 대한 비유 ∙ 192
⑥ 선지식에 대해 내야 하는 마음 ∙ 193
⑦ 자신과 선지식에 대한 생각 ∙ 195
⑧ 선지식에 대해 또 비유함 ∙ 197
⑨ 선지식의 가르침을 따르는 이익 ∙ 198
(5) 정례하고 물러감 ∙ 199

묘각(妙覺) 선지식 ∙ 200

52. 미륵(彌勒) 보살(菩薩) ∙ 200
(1) 옛일을 생각하고 고침 ∙ 200
(2) 큰 누각을 관찰함 ∙ 202
(3) 누각에 사는 사람들 ∙ 205
(4) 선재의 찬탄 ∙ 211
(5) 미륵 보살이 누각으로 옴 ∙ 225
(6) 선재를 또 다시 찬탄함 ∙ 225
(7) 감동하여 욺 ∙ 252
(8) 선재에 대한 예언 ∙ 252
(9) 선재의 대답 ∙ 253

대방광불화엄경 제78권 ∙ 254
제39. 입법계품 [19] ∙ 254

(10) 미륵 보살에게 법을 물음 ∙ 254
① 미륵 보살을 찬탄함 ∙ 254
② 보살의 도를 다시 물음 ∙ 256
③ 선재를 찬탄함 ∙ 257
④ 선재를 또 찬탄함 ∙ 262
⑤ 보리심의 덕 ∙ 270
⑥ 보리심에 대한 맺음말 ∙295
⑦ 누각에 대한 암시 ∙ 295

대방광불화엄경 제79권 ∙ 296
제39. 입법계품 [20] ∙ 296

(11) 미륵 보살이 법을 보임 ∙296
① 선재가 누각에 들어감 ∙ 296
② 누각 안에서 이익을 얻음 ∙ 296
③ 미륵 보살의 수행 과정과 설법 ∙ 298
④ 미륵 보살과 함께한 대중들 ∙ 302
⑤ 여래를 봄 ∙ 304
⑥ 누각 속의 누각들 ∙ 304
⑦ 누각의 장엄 도구들 ∙ 305
⑧ 보게 된 까닭 ∙ 313
⑨ 비유 ∙ 313
⑩ 선재를 삼매에서 나오게 함 ∙ 316
⑪ 미륵 보살의 해탈 문 ∙ 317
⑫ 장엄의 근원 ∙ 318
⑬ 보살이 오고 가는 근원 ∙ 319
⑭ 보살이 태어나는 곳 ∙ 321
⑮ 보살의 권속 ∙ 322
⑯ 보살의 뛰어남 ∙ 323
⑰ 미륵 보살의 현재 ∙ 325
⑱ 미륵 보살의 미래 ∙ 326
⑲ 문수사리를 권함 ∙ 326

대방광불화엄경 제80권 ∙ 329
제39. 입법계품 [21] ∙ 329

53. 문수(文殊) 보살을 다시 만남 ∙ 329
(1) 선재를 칭찬하고 법을 선설함 ∙ 329
(2) 선재의 수행 진보 ∙ 330
(3) 보현 보살 뵙기를 갈망함 ∙ 332
(4) 열 가지 상서(祥瑞)로운 상(相) ∙ 332
(5) 광명의 열 가지 상(相) ∙ 333

54. 보현(普賢) 보살(菩薩) ∙ 335
(1) 보현 보살을 찾음 ∙ 335
(2) 보현 보살의 경계 ∙ 336
(3) 보현 보살의 털구멍에서 본 것 ∙ 340
(4) 신통력을 보고 얻은 것 ∙ 341
(5) 보현 보살의 법문 ∙ 342
① 선재의 정수리를 만짐 ∙ 342
② 보살 행을 말함 ∙ 343
③ 자기 몸을 보기를 권함 ∙ 346
④ 비교 ∙ 348
⑤ 선재가 얻은 경계 ∙ 350
(6) 보현 보살의 게송 ∙ 350
(7) 부처님의 뛰어난 공덕 ∙ 352
∥부록∥ 보살 수행 52계위 ∙ 378

참고 문헌 ∙ 386

책리뷰

저자소개

전북 익산 출생으로 남성중고등학교와 전북대학교 영어영문과를 졸업하고 전주의 상산고등학교에서 영어교사를 역임했다. 젊은 시절부터 인간을 포함한 만물에 대한 근원적인 이치에 관심이 깊어 여러 경전을 섭렵하면서 스승을 찾던 중 중년 초반에 완전한 깨달음을 이룬 스승을 만나 지금까지 명상 수행을 해오고 있다.

번역서로는 『수능엄경』의 핵심 부분인 『이근원통』과 『오음의 마』를 역대 최고의 주석서인 진감 스님의 『대불정수능엄경정맥소』의 주석과 함께 한글로 옮긴 책이 각각 한 권씩 있다. 또 중국 당나라 때의 시승(詩僧) 한산의 시를 역대 최고의 주석서인 항초의 『한산시주(寒山詩註)』와 함께 우리말로 옮긴 『한산자시집 상, 중, 하』가 있다. 시집으로는 『빛으로 된 새』가 있으며, 수필집으로는 『진정 아름다운 사람』이 있다. 그리고 사진집으로는 『빛으로 그린 수묵화 상, 중, 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