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건강, 커뮤니티케어, 공존공생 등의 키워드들은 필자들이 산림치유 현장에서 활동하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느낀 것으로 이와 같은 느낌으로 배우고 활동하면서 생산한 내용들을 엮은 것입니다.
산림치유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자연과 멀어지면서 발생하는 질병의 흐름을 역전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고 숲이라는 자연과의 접촉면을 확장하는 것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입니다.
숲이라는 자연과의 접촉면을 확장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한다는 것은 곧바로 생태적인 사유와 연결됩니다. 건강하지 않은 숲과 자연이 치유와 회복을 위한 환경이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머리말
제1부 산림치유개론
1. 산림치유의 배경과 정책
2. 산림치유 개념
3. 산림치유 인자
4. 산림치유 프로그램
5. 산림치유 효과
제2부 숲속생활과 산림치유
6. 생태적 숲과 산림치유
7. 임서기(林棲期)와 출가생활
8. 수렵채집생활과 진화의학
9. 철기시대와 무위자연
10. 소로우의 숲속생활
11. 생태주의와 산림치유
제3부 자연인과 산림치유
12. 산림치유를 경험한 사람들
13. 왜 자연인이 되었는가
14. 자연인들의 생활과 산림치유
15. 자연인들의 생활철학
16. 산림치유 경험의 원리
제4부 산림치유 프로그램 매뉴얼
17. 스트레스와 산림치유
18. 환경성 질환과 산림치유
19. 인터넷 중독과 산림치유
20. 요보호아동과 산림치유
21. 치매예방과 산림치유
22. 어르신 우울과 산림치유
부록1. 산림치유 단위 프로그램
부록2. 몸과 마음 살피기1(InBody)
부록3. 몸과 마음 살피기2(HRV)
부록4. 전국 치유의숲 현황
참고문헌
강희원
자연치유학 박사. 사회복지학, 자연치유학, 통합의학을 전공했으며 숲해설가, 산림치유지도사, 명상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백두대간, 백대명산, 임도100선 등 전국의 산과 숲을 밟으며 생태환경과 생명공동체에 대한 관심을 키워왔다.
현재 진화생물학, 생태철학, 통합의학, 불교명상 등을 관심분야로 공부하고 있다.
정연희
디지털미디어디자인을 전공하고, 25년간 3D그래픽전문 직업훈련기관을 운영하였다. 이후 석박사과정에서 통합의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현재는 '자연치유 요가명상원-쉼', 산림복지업을 운영하고 있다. 연구논문으로 ‘통합의학의 관점에서 본 요가치료 연구현황 분석’이 있다.
산림교육 및 산림치유지도사, 요가/명상 지도자 자격 등을 취득하고 성인, 청소년, 장애인, 관심병사 등 다양한 대상들과 함께하는 산림치유 활동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