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고등교육 환경 속에서 대학은 더 이상 ‘지역 명문’이라는 수식어만으로 생존할 수 없습니다. 국제 경쟁력 확보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대학은 구조적 혁신과 전략적 대응이 절실합니다.
이 책은 세종대학교를 2012년 당시 아시아 200~250위권에서 현재 40위권 및 국내 3위(US News 랭캥 기준)로 도약을 이끈 김승억 교수의 실전 전략과 경험을 바탕으로, 대학이 세계 랭킹 경쟁 속에서 살아남고 도약할 수 있는 핵심 해법을 제시합니다. 주요 대학의 랭킹 분석과 대학 조직이 당장 실행할 수 있는 로드맵과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여 ‘어디서부터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방향을 안내합니다.
대학 행정자, 교육정책 입안자, 고등교육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은 변화를 시작하는 나침반이 되어줄 것입니다.
제1부 대학 랭킹 개요 및 평가 기준
1. 대학 랭킹 개요
2. 글로벌 대학 평가 기관의 기준 비교
3. 랭킹 평가 기준 분석
4. 세계 대학의 랭킹 전략 사례
제2부 국내외 주요 대학 랭킹 분석
5. 세계 주요 대학 랭킹 분석
6. 국내 주요 대학 랭킹 분석
7. 국내 주요 대학 지표별 점수 분석
제3부 대학 랭킹 향상을 위한 핵심 전략
8.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
9. 교수진 평가 및 채용 전략
10. 학생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 혁신
11. 국제화 전략
12. 대학 재정 및 산업 협력 강화
제4부 대학 행정과 조직 혁신
13. 대학 운영 및 행정 시스템 개선
14. 대학 경영과 리더십
15. 정부 정책과 대학 평가
제5부 대학 랭킹 향상을 위한 실행 계획
16. 대학별 맞춤형 전략 수립
17. 성공적인 대학 개혁을 위한 로드맵
18. 미래 대학의 방향과 도전 과제
부록1. 세계 주요 대학 현황
부록2. 대학 랭킹 향상을 위한 실행 체크리스트
김승억
세종대학교 석좌교수
전 공과대학 학장 · 기획처장 · 부총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대학랭킹연구소 소장
Email : uri.sekim@gmail.com
김승억 교수는 세종대학교에서 28년 6개월간 재직하며 교육과 연구는 물론, 대학 경영과 전략 수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보직을 맡아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이끌어온 교육자이자 정책가입니다.
공과대학 학장 재임 시절에는 교수 업적 평가제도를 전면 개편하여, 연구 중심 대학으로의 체질 개선을 이끌었습니다. 이후 기획처장과 부총장 재임 기간에는 대학 랭킹 향상을 위한 제도 개편을 주도하여, 세종대학교가 2012년 아시아 대학 랭킹 200~250위권에서 현재 40위권 및 국내 3위(U.S. News 기준)로 도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현재 그는 ‘대학랭킹연구소’를 설립하여, 대학별 특성에 맞는 제도 개선과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