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선화화보(宣和畵谱) 의 개념과 이해 1
북송시대 회화의 경향과 예술사상 13
회화의 경향과 특징 14
회화의 시대적 흐름 15
도석인물화 15
산수화 19
화조화 23
회화의 심미적 특징 25
회화예술에서 ‘형신(形神)’의 문제 25
‘간(簡)’의 심미적 함의 28
대립과 통일의 조화로운 해석 법칙 31
화론과 문화 이데올로기와의 조응 34
시대적 사상 동향 34
사대부의 문예사상 36
실천적 ‘도’로서의 문예혁신-구양수 36
만물일체, 무아의 경지[以物觀物]-소옹 39
경세치용에 관한 ‘도’로 집약한 문예사상-왕안석 42
생명과 영감의 작용, ‘신(神)’-심괄 46
‘이기론’ 관점에서 유심주의 사유 의식-정호ㆍ정이 47
휘종의 ‘화학정책(畵學政策)’과 선화화보 의 편찬 의의 51
휘종의 ‘화학정책’과 그 특징 52
휘종의 ‘화학’ 설립 배경과 계몽정책 52
‘화학’의 설립 배경 53
‘화학’의 성격과 의의 54
‘화학’과 ‘한림도화원’과의 관계 57
‘한림도화원’의 설립 의의 57
‘화학’ 설립의 다른 속성 58
화원의 지위와 변천 과정과의 관계 60
선화화보 의 편찬 배경과 의의 62
‘선화전어제(宣和殿御製)’의 의미 62
‘선화전’의 의미와 특징 63
선화화보 저술 의도와 목적 64
선화화보 편찬자들과 휘종과의 관계 67
선화화보 편찬을 둘러싼 논쟁 67
선화화보 저술자와 휘종과의 관계 68
선화화보 의 사상과 화과(畵科) 분류 73
선화화보 의 10문에 담긴 사상 74
선화화보 의 사상적 합일점 74
삼교합일의 회화예술사상 75
10문의 분류와 사상적 특징 77
선화화보 의 분류 체제 79
10문의 분류 체제와 구조 79
회화분류의 시대적 계승 관계 81
도교심미관에 따른 회화예술관 85
도석(道釋) : 이득유(李得柔)의 ‘숭도(崇道)’ 86
이득유에 대한 평가 86
이득유의 회화예술관 89
산수(山水) : 이성(李成)의 ‘고금제일(古今第一)’ 92
이성에 대한 평가와 가치 93
이성 화법의 전수자 97
화조(花鳥) : 서희(徐熙)의 ‘우의(寓意)’ 101
서희에 대한 평가와 가치 102
서희의 회화예술관 106
묵죽(墨竹) : 문동(文同)의 ‘묵죽종사(墨竹宗師)’ 108
문동에 대한 인물 평가 109
문동의 회화예술관 110
선화화보 에 내재한 ‘조화미(調和美)’ 115
선화화보 에 나타난 예술사상 116
‘선화체(宣和體)’: ‘원체화’와 ‘문인화’의 융합 추구 116
‘선화체’ 117
‘원체화’와 ‘문인화’의 조화 120
‘천도합일(天道合一)’: ‘천인합일’과 ‘심수일체(心手一體)’의 정신 124
‘천인합일’과 ‘심수일체’ 124
‘천도합일’ 128
‘신도합일(神道合一)’: ‘형사(形似)’와 ‘신사(神似)’의 정신 129
‘형신론’ 개괄 130
소식의 ‘형신관’ 131
휘종과 동유의 ‘형신관’ 135
선화화보 의 ‘형신관’ 139
‘도즉일(道則一)’: ‘서화일체(書畵一體)’의 정신 143
‘서화’의 형성 의의와 연원 143
‘서화’의 문화 이데올로기 148
‘서화일체’ 150
선화화보 의 예술사상에서 ‘조화미’ 155
문화 권역에 대한 도전과 시대정신 161
<표. 10문에서 시대사적 화가와 작품 분류> 171
참고문헌 인용 및 해설 225
저작자 이정미는 성균관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였다. 군사문화 비평선집의 저자이며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의 편집위원이다. 인류의 문화, 혁신, 통합의 가치를 바탕으로 한 인간 사회의 다양한 융합문화를 연구 조사하면서 현재 인문혁신융합연구소 대표이사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