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치매 이상행동의 약물적 접근 2

치매 이상행동의 약물적 접근 2

지은이 : 약학박사 이경복
출간일 : 2024-05-17
ISBN : 9791139022056
판매가 : 20,000원
포멧 : PDF
판매서점

책소개

임상의는 BPSD가 시작되거나 악화되기 전 몇 주 동안
약물의 변화에 대해 간병인에게 문의해야 합니다. 치매
환자는 약물의 중추신경계 효과에 취약하며, 모든 주범
약물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방광 진
경제와 히스타민 길항제가 인지와 행동에 미치는 잘 알
려진 부작용 외에도 항생제(특히 외래 환자에서는 트리- 135 -
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및 플루오로퀴놀론, 입원 환자
에서는 페니실린 및 대부분의 세팔로스포린[세프트리악
손 제외]), 항우울제, 벤조디아제핀, 디곡신, 레베티라
세탐 및 근육 이완제는 동요와 무관심 모두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항우울제, 벤조디아제핀 또는 오피
오이드로 인한 약물 중단도 BPSD의 원인이 될 수 있
습니다. 2세대 항정신병 약물을 포함한 항정신병 약물
로 인한 무력증은 특히 이러한 약물의 복용량을 증가시
켰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악화되는 환자에서 고려되어
야 한다.

목차

목 차
1. 알츠하이머 치매에서 BBB의 변화(4)
2. 치매 로 이어지는 렘 수면 행동 장애
언제, 어떻게, 무엇을, 그리고 왜 진단 및 치매
의 위험성에 대해 공개하여야 하는가(19)
3. BPSD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56)
4. 치매의 행동장애 : 인지와 치료(98)
5. 치매의 행동 장애 유형 : 인지와 치료적 측
면에서(123)
6 치매의 행동심리증상 관리 모범 사례(170)
7. 치매 환자에서의 행동 장애의 진단과 치료 (216)

책리뷰

저자소개

저자(글) 이경복
숙명여대 약학대학 졸업
숙명여대 약학대학원 치료약학전공 박사학위취득
서강대 대학원 석사학위취득
대한치매학회 정회원
국제신대 대체의학복지대학원 책임교수
경기대 대체의학대원 외래교수
한양대 간호정보대학원 강사
대한약사회 다제약제관리 전임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