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오늘날 디지털시대의 중심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시대의 핵심 키워드를 모아 그 의미를 깊이 탐구하는 일은 우리의 존재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 것입니다. 특히 이러한 키워드를 바탕으로 시를 창작하는 일은 시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무한한 상상력과 영감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는 중견 시인에게는 다소 도전적인 작업일 수도 있지만 아마추어 시인이 과감히 이 여정에 뛰어들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번 시집 '디지털시선 II'는 이전에 발간한 '디지털시선'의 연장선에 있습니다. 이 시집은 단순히 디지털사회를 주제로 한 시들을 모은 것이 아니라 우리 삶의 다양한 측면을 담아낸 시들 중에서 디지털사회를 핵심으로 삼아 가장 의미 있는 작품들을 엄선했습니다.
앞서 '디지털시선'을 출간한 후 시집 제목에 걸맞게 모든 작품을 디지털사회와 밀접히 연관된 시들로 가득 채우고자 하는 욕망이 생겼습니다. 그리하여 이 열망을 실현하고자 이번 시집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집을 통해 독자 여러분이 디지털시대의 다양한 관점과 시선을 경험하고 그 속에서 새로운 통찰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제1편 디지털순기능]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현실
증강현실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5G 네트워크
디지털경제
전자상거래
디지털플랫폼
소셜미디어
소셜미디어2
온라인학습
원격근무
디지털헬스케어
핀테크
자율주행차
머신러닝
디지털혁신
디지털마케팅
스마트홈
크립토커런시
로보틱스
네트워크
디지털 아이디
아바타
메타버스
네트워크 중립성
게이트키퍼
NFT
사이버인권
사이버상 표현의 자유
사이버환경권
사이버환경
사이버상 행복추구권
사이버 이데아
사이버유토피아
유튜브
[제2편 디지털역기능]
사이버보안
데이터 프라이버시
디지털격차
다크웹
사이버전쟁
사이버공격
DDoS
사이버음란물
디지털성범죄
디지털성착취
몰래카메라
사이버불링
허위통신
가짜뉴스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모욕
디지털중독
사이버도박
보이스피싱
몸캠피싱
인터넷사기
스미싱
사이버스토킹
불법콘텐츠
사이버윤리
디지털피로
컴퓨터바이러스
스파이웨어
정보과부하
인터넷검열
사이버감시
사이버 판옵티콘
사이버 디스토피아
디지털교도소
이메일스푸핑
디지털발자국
경희대학교에서 ‘디지털사회의 문화’를 강의하며, 디지털과 문학의 교차점에서 새로운 시적 감각을 탐구하고자 한다. 그의 작품은 기술진보 속에서 인간의 감정을 탐구하며, 디지털사회의 복잡성을 시로 표현하고자 했다. 이 시집에서 디지털시대의 다양한 측면을 깊이 조명하며 독자에게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