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이 세상이 하나로 쭉 이어진 연속된 세계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사실은 조각조각 나눠진 화면들이 빠르게 이어지면서, 마치 하나의 현실처럼 느껴질 뿐입니다. 이 책은 렌즈 실험, 감각 착각, 뇌의 해석 구조 등을 통해 우리가 ‘부분 도립된 프레임’을 보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밝혀냅니다. 현실, 감각, 자아, 방향감 모두 조립된 착각일 수 있습니다. 이제, 진짜 현실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보세요.
《부분 도립 이론 – 프레임 모자이크 이론》 목차
1. 프레임 모자이크 이론이란 무엇일까?
2. 과학계는 왜 하나의 연속적인 세계라고 주장했을까?
3. 하나의 연속적인 세계가 아니라는 사례들
4. 확대경으로 보면 왜 세상이 뒤집혀보이나?
5. 과학계 말대로라면 확대경을 봤을 때 귀신처럼 보여야 한다
6. 과학계 주장대로 전체 도립이라면 우주선이 어떻게 우주로 나갈 수 있나?
7. 물리 법칙이 반대로 움직인다면?
8. 부분 도립이 맞다는 실험들
9. 색깔도 부분 도립이다
10. 전체 도립이라면 색깔 모순이 발생한다
11. 우리가 전체를 보고 있다는 착각들
12. 오감도 일부분이다 – 시각 편
13. 오감도 일부분이다 – 청각 편
14. 오감도 일부분이다 – 촉각 편
15. 오감도 일부분이다 – 후각과 미각 편
16. 손은 어떻게 방향을 알고 위아래로 움직일까?
17. 뇌는 방향을 아는 게 아니라, 착각하고 있다
18. 3차원은 착각이다 – 과학계가 만든 독립계의 허상
19. 진짜 3차원이라면 물리 법칙도 축마다 달라야 한다
20. 도립된 세계에서 법칙이 바뀌지 않는 이유 – 과학의 이중 착각
21. 공간은 2차원이다
22. 2차원 점프와 부분 도립 – 하나의 세계를 만드는 두 축
23. 게임 세계도 부분 도립이다 – 즉, 만들어진 것은 부분 세상이다
24. 전체 도립은 무한해야 한다 – 우리는 항상 조각만 본다
25. 진짜는 존재할 수 없다
26. 유한의 세상, 하지만 사람들은 무한처럼 진짜라고 생각할까?
27. 결국 이 세상은 AR 세상이랑 같다
28. AR 증강현실과 현실 세계의 공통점 찾기
29. 시뮬레이션보다 정교한 착각
30. 전기가 곧 힘이다
31. 우리도 전기로 움직인다
32. 전기 강화, 물리 법칙을 초월한 사례
33. 사람 중에서도 강한 전기로 물리 법칙을 초월한 사례는
34. AR의 발전, 우리는 신이 될 수 있을까?
35. AR로 나의 비전 그리기
36. 현실은 다른 누군가가 만든 AR 세계
37. 우리도 AR 개발 역량을 배워놓자
38. 미래 AR로 돌아가신 부모님을 만날 수 있을까?
39. 미래에 완전 오감 시뮬레이션은 가능할까?
40. 지금까지의 내용 정리
41. 이야기를 끝내며 – 최종 인사
안녕하세요 뇌과학을 연구하는 이재근입니다
저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 학과 박사수료후
여러 학문을 융합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