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프레임 모자이크 이론- 우리는 전체가 아니라 일부분만 본다
나는 AR캐릭터다

프레임 모자이크 이론- 우리는 전체가 아니라 일부분만 본다

지은이 : 이재근
출간일 : 2025-07-11
ISBN : 9791139036718
판매가 : 7,000원
포멧 : PDF
판매서점

책소개

사람들은 이 세상이 하나로 쭉 이어진 연속된 세계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사실은 조각조각 나눠진 화면들이 빠르게 이어지면서, 마치 하나의 현실처럼 느껴질 뿐입니다. 이 책은 렌즈 실험, 감각 착각, 뇌의 해석 구조 등을 통해 우리가 ‘부분 도립된 프레임’을 보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밝혀냅니다. 현실, 감각, 자아, 방향감 모두 조립된 착각일 수 있습니다. 이제, 진짜 현실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보세요.

목차

《부분 도립 이론 – 프레임 모자이크 이론》 목차

1. 프레임 모자이크 이론이란 무엇일까?

2. 과학계는 왜 하나의 연속적인 세계라고 주장했을까?

3. 하나의 연속적인 세계가 아니라는 사례들

4. 확대경으로 보면 왜 세상이 뒤집혀보이나?

5. 과학계 말대로라면 확대경을 봤을 때 귀신처럼 보여야 한다

6. 과학계 주장대로 전체 도립이라면 우주선이 어떻게 우주로 나갈 수 있나?

7. 물리 법칙이 반대로 움직인다면?

8. 부분 도립이 맞다는 실험들

9. 색깔도 부분 도립이다

10. 전체 도립이라면 색깔 모순이 발생한다

11. 우리가 전체를 보고 있다는 착각들

12. 오감도 일부분이다 – 시각 편

13. 오감도 일부분이다 – 청각 편

14. 오감도 일부분이다 – 촉각 편

15. 오감도 일부분이다 – 후각과 미각 편

16. 손은 어떻게 방향을 알고 위아래로 움직일까?

17. 뇌는 방향을 아는 게 아니라, 착각하고 있다

18. 3차원은 착각이다 – 과학계가 만든 독립계의 허상

19. 진짜 3차원이라면 물리 법칙도 축마다 달라야 한다

20. 도립된 세계에서 법칙이 바뀌지 않는 이유 – 과학의 이중 착각

21. 공간은 2차원이다

22. 2차원 점프와 부분 도립 – 하나의 세계를 만드는 두 축

23. 게임 세계도 부분 도립이다 – 즉, 만들어진 것은 부분 세상이다

24. 전체 도립은 무한해야 한다 – 우리는 항상 조각만 본다

25. 진짜는 존재할 수 없다

26. 유한의 세상, 하지만 사람들은 무한처럼 진짜라고 생각할까?

27. 결국 이 세상은 AR 세상이랑 같다

28. AR 증강현실과 현실 세계의 공통점 찾기

29. 시뮬레이션보다 정교한 착각

30. 전기가 곧 힘이다

31. 우리도 전기로 움직인다

32. 전기 강화, 물리 법칙을 초월한 사례

33. 사람 중에서도 강한 전기로 물리 법칙을 초월한 사례는

34. AR의 발전, 우리는 신이 될 수 있을까?

35. AR로 나의 비전 그리기

36. 현실은 다른 누군가가 만든 AR 세계

37. 우리도 AR 개발 역량을 배워놓자

38. 미래 AR로 돌아가신 부모님을 만날 수 있을까?

39. 미래에 완전 오감 시뮬레이션은 가능할까?

40. 지금까지의 내용 정리

41. 이야기를 끝내며 – 최종 인사



책리뷰

저자소개

안녕하세요 뇌과학을 연구하는 이재근입니다
저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 학과 박사수료후
여러 학문을 융합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