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해례본)은 대한민국의 국보이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다. 문자의 창제 동기와 목적과 원리 및 사용법이 일목요연하게 기록된 세계유일의 서책이다. 1940년 경북 안동에서 발견된 훈민정음(해례본)은 간송본이라 하며 국보 제70호이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의 하나이다. 2008년 7월말 경북 상주에서 발견된 또 하나의 훈민정음(해례본)은 상주본이라고 한다. 그동안 상주본은 소유권 다툼으로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실물은 아직도 볼 수 없다.
훈민정음(해례본)에 대한 외적인 관심은 높지만, 내적인 연구는 아직도 부족하다. 본 책에는 간송본 정음편 낙장의 정본 제작에 대한 제안도 하고, 상주본에 대하여 교양잡지에 투고한 원고를 재편집한 글도 있고, 본 책에서 최초로 공개하는 판본 비교에 대한 글도 있다. 새롭게 발견된 상주본과의 비교를 통하여 훈민정음(해례본)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574돌 한글날을 기리며, 천안에서
백 승 철
훈민정음 판본의 종류--------------------------------4
훈민정음(해례본) 간송본에 대하여-----------------5
훈민정음(해례본) 상주본의 발견--------------------8
훈민정음 정음편 낙장의 정본 제안-----------------10
상주본 크기의 훈민정음 책의 복원안---------------16
훈민정음 간송본이 상주본의 정정판본이다.-------27
끝------------------------------------------------------40
훈민정음(해례본)을 거액을 들여 구입하시고 어려운 국란에도 온전히 보존하여 한글의 뿌리를 알게 해주신 간송(澗松 全鎣弼) 선생님과 원문을 그대로 볼 수 있도록 사진판 영인본으로 남겨주신 통문관 이겸로(李謙魯) 사장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훈민정음 상주본을 볼 수 있게 해주신 배익기(裵益基) 씨와 안동MBC 관계자 분들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백승철 (白承哲. BAEK, SeungCheol)
1955년 8월 경남 거제 관송 출생
1974년 2월 거제고등학교 졸업
1983년 2월 동아대학교 졸업
1983년~2014년 회사원
저 서
『읽고 싶은 훈민정음해례』 2016 (전자책은 2017년)
『읽고 싶은 훈민정음 해례본』 2018 (전자책은 2019년)
『훈민정음 간송본과 상주본 비교연구』 2020 전자책